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 알고리즘스터디
- CSS
- 프로그래머스 Lv.0
- 프로그래머스 레벨0
- 프로그래머스알고리즘
- mysql
- next.js
- js
- html
- 코테준비
- 알고리즘공부
- 알고리즘문제
- next.js 에러
- 코딩테스트
- 코딩
- 1일1코테
- 프로그래머스 코테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 정보처리기사
- 코테스터디
- 프로그래머스코테
- 코테공부
- 정처기기출
- 자바스크립트
- 개발자
- 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머스코딩테스트
- Redux-Toolkit
- 프로그래머스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86)
계발하는 개발자
에러 React v18 환경에서 v17으로 다운그레이드 하고나니까 아래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에러 코드] Cannot find module 'react-dom/client' 원인 index.js 파일에서 react-dom/client 모듈을 찾을 수 없어서 발생한 문제다. react-dom/client는 v18에서 새로 추가된 모듈이다. React v18 부터는 이 모듈을 이용해 DOM을 렌더링한다. 반면 React v18 이전 버전은 다른 모듈(react-dom)을 사용하여 렌더링한다. 따라서 이걸 회귀시켜주면 된다. 해결 이전 방식의 react-dom을 사용하여 DOM을 렌더링 해주면 된다. 1. ReactDOM을 react-dom 에서 import 해준다. // import ReactDOM fr..

chart.js란? canvas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차트를 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 시각화 라이브러리다.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쉽고 간단하게 데이터 기반의 반응형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Getting Started | Chart.js Getting Started Let's get started with Chart.js! Alternatively, see the example below or check samples. Create a Chart In this example, we create a bar chart for a single dataset and render it on an HTML page. Add this code snippet to your page: You should www.c..

참고 https://eslint.vuejs.org/rules/multi-word-component-names.html#vue-multi-word-component-names 에러 보통 컴포넌트 파일 이름을 지을 때 xxComp.vue 라고 하는 편인데 이번엔 'Comp' 는 빼고 그냥 xx.vue 형식으로 파일 이름을 지었더니 아래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컴포넌트 이름은 항상 여러 단어로 이루어져있어야 된다는 뜻의 에러인데.. 왜 Vue 컴포넌트의 이름은 항상 여러 단어여야 하는걸까? 궁금해서 찾아보았다. 원인 eslint-plugin-vue 공식문서에서 vue/multi-word-component-names 규칙에 관해 찾아보았다. 단일 단어로 구성된 HTML 엘리먼트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vue에..

시맨틱 마크업(Semantic Markup) 시맨틱(Semantic) 이란 "의미론적인"의 뜻을 가지며, 마크업(Markup)이란 HTML 태그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시맨틱 마크업이란, 의미를 잘 전달하도록 문서를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시맨틱 마크업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작성 방법 시맨틱 마크업을 하기 위해선 각 태그를 그 용도에 맞게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 헤더/푸터에 와 사용 - 메인 컨텐츠에 과 사용 - 독립적인 컨텐츠에 사용 - 최상위 제목으로 사용 - 순서가 없는 목록으로 과 사용 - 네비게이션에 사용 이런 식의 태그가 가지고 있는 의미에 맞게 사용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런 점 외에도 CSS 스타일을 명시하는 태그를 사용하지 않는 것 또한 시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