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ysql
- next.js
- 프로그래머스코테
- 코딩테스트
- 코테스터디
- 프로그래머스
- js
- 프로그래머스 Lv.0
- 코테준비
- 프로그래머스 코테
- 프로그래머스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 코테공부
- 프로그래머스 레벨0
- 알고리즘스터디
- 코딩
- 개발자
- 정처기기출
- Redux-Toolkit
- 자바스크립트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 next.js 에러
- 프로그래밍
- 정보처리기사
- 1일1코테
- 알고리즘문제
- html
- CSS
- 프로그래머스코딩테스트
- 알고리즘공부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86)
계발하는 개발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AS2V/btsrH4hGRmx/6s35K1T4NF0kO6KZkoIXo1/img.png)
네트워크 통신에 대한 이해를 탄탄하게 하고가야 할 것 같아서 오늘부터 관련 강의와 자료 검색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순서 인터넷 동작원리 DNS 웹소켓 HTTP/HTTPS SSL(TLS) 1. 인터넷 동작원리 먼저 인터넷에 대해 알아보자. 인터넷은 전 세계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 거대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네트워크란 '네트'와 '워크'의 합성어로, 직역하면 '일하는 그물' 정도가 될 것이다. '그물처럼 서로 엮여서 일한다'는 의미인 셈으로, 즉 여러 대의 컴퓨터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집합체인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할까? mdn에서 이에 대해 간단한 그림으로 설명되어 있어 가져왔다.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9zIzF/btsrR2clY9q/BYUdIDsqLaf8txFKbYBF6k/img.png)
git에서 clone한 파일을 실행시켰더니 위와 같은 에러가 떴다. 어떻게 해결해야하나 구글링을 하니까 해결법을 찾았고, 해결할 수 있었다. 혹시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다면, 아래 순서를 따라해보자. 1. [File] -> [Project Structure] 2. [Project Settings] -> [Project] 3. [Language Level] 에서 맨 위의 [SDK Default]를 선택 4. [OK]를 누르면 에러가 해결됐다는 말과 함께 해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AuGs/btsrEyXcTkJ/S6GqryKzMjoFclfeKeKb30/img.png)
클로저를 공부하기에 앞서 MDN에서 클로저에 대해 검색해보면 "클로저는 함수와 함수가 선언된 어휘적 환경의 조합이다. 클로저를 이해하려면 자바스크립트가 어떻게 변수의 유효범위를 지정하는지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라고 나와있다. 따라서, 렉시컬 스코프가 무엇인지를 먼저 알아보자. 정적 스코프(static scope),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란? 렉시컬 스코프는 한 마디로 함수를 어디에 선언하였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가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자바스크립트를 포함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르며, 이를 정적 스코프(Static Scope) 라고 부르기도 한다. function init() { var name = "Mozill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z57L/btsrh10bmvL/jfbspMedsz8IxMAzkMVeR1/img.png)
어제 포스팅했던 mixins 옵션을 알기 전에,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메서드 전달을 위해 기존 사용하였던 provide/inject 에 대해 정리해볼까 한다. 먼저 이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props가 아닌 provide/inject를 고려했던 이유는 자식컴포넌트의 경우 부모컴포넌트에서 사용하는 단순 메서드가 필요한 것이지, 부모측 데이터는 필요없어서였다. 이런 경우 props로 전달받기엔 많은 번거로움이 있다고 생각했다. 이 포스팅은 일전 사용하였던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한 것이며, 지금은 해당 코드 블럭을 mixins으로 대체해서 코드상에서는 제외되었다. Provide/inject 란? 목적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부모-자식 계층 구조를 따르지 않는 컴포넌트..